경상도

통영 : 소매물도 등대섬

꽃배달위장강도 2015. 5. 20. 18:30

 2015.05.14  소매물도 등대섬

 

 

 소매물도 가는 여객선은  통영과 거제 두 군데가 있습니다.   통영항여객터미널. 저구항여객터미널.    (장승포항여객터미널도 가는 배가 있는지 헷갈리네요. ???)

 통영 → 소매물도  (16,050원)        소매물도 → 통영 (14,600원)        통영항여객터미널 주차비도 있는데, 얼만지 기억 안나네요.

 

 

 통영에서는  아침 7:00 부터   3회 운항.  (1시간 넘게 소요)        거제에서는 아침 08:00 부터 4회 운항. (1시간 이내 소요)

 되돌아 오는 것은  오후 16:00~16:30  즈음이 모두 마지막 배.       (소매물도에 민박, 펜션, 식당 다 있습니다.  트럭도 한 대 봤네요.)

 여객선 정원 초과가 되지않는다면,  소매물도에서 나올 때,  구매한 표보다 앞의 여객선을 타고 나와도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'비진도' 라든가 두어 군데 섬을 들려서 갑니다.      종착지가  '소매물도'.

 

 

 

 

 

 07:00 배로   통영항에서 출발해서  08:30 즈음에 도착.    선착장에 있는 식당으로 바로 들어가서   아침식사 부터  시작합니다.

 멍게 비빔밥, 회 덮밥, ....    식당이 서너군데? 있는데   메뉴가 5~6가지? 대동소이 합니다.  가격도 같구요.  카페도 서너군데?  민박 & 펜션도 서너군데?

 (전체 섬의 크기는  호수공원 사이즈?     우도 사이즈?   보통 2~3시간이면 구경하기 충분하다고 그러시죠.)

 

 

 

 ▼ 선착장 근처, 식당에서 나와서 파란색 선을 따라 걸어 올라갑니다.

 

 

 

 ▲ 매물도가  멀리 보입니다.

 

 ▼ 소매물도 제일 높은 쪽에   '관세 역사관'이 있습니다.   옛날 해상 감시소 같은 곳이구요.     그 앞의 동상이 가야할 방향을 알려주네요.

 

 

 ▼ 소매물도 등대섬

 

 

 ▼ 등대섬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 옆 풍경

 

 

 식당에서 식사하고 나오니,  같은 배를 타고 왔던 다른 사람들이  우루루 먼저 지나간 상태라서,  가는 길이 호젓하고 좋네요.

 대부분 07:00 배로 들어와서,  12:20 배로 되돌아가는 사람들이라서  바삐 움직입니다만.   저는 16:28 배로 돌아갈 겁니다.  천천히.

 

 

 

 ▼ 소매물도와 등대섬이  이어지는 바닷길을 '열목개'라고 부릅니다.     물 때를 미리 알고 가셔야 하는데,  5월은 거의 오전~오후 낮 시간대가 모두 열려있네요.

 

 

 

 

 

 ▼ 등대 올라가는 길 옆, 나무의 꽃이 이쁩니다.   잎사귀가 둥굴게 말렸네요.

 

 

 ▼ 이름이 돈나무. 

 

 

 ▼ 올라가다가  뒤 돌아보면  소매물도와 매물도 모두 보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등대 아래에 걸터 앉아있기 좋은 곳이 있습니다.  한참을 쉬는데,  점점 날이 흐려지면서  해무가 끼기 시작합니다.

 

 ▼ 등대섬 내려오면서

 

 

 

 

 

 ▼ 등대섬 선착장

 

 

  ▼ 선착장 계단 모서리에  따개비?   거북손.    갑자기 라면 생각이 납니다.

 

 

 

 ▼ 등대섬이 안개에 점점 가려지네요.

 

 

 

 ▼ 안개가 껴서,  해안로로  되돌아 올때는 바다 경치가 전혀 안보였네요.

 

 

  ▼ 남매바위 (오빠바위) 인데,  별 달리 특이한 점은 없는 듯.

 

 

 아랫쪽 해안가에 누이바위도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▼ 바다 낚시를 즐기시는 몇 분이 저처럼 첫 배로 들어오셔서, 마지막 배로 나가시더군요.

 

 

 ▼ 선착장으로 복귀

 

 

 식당에서 늦은 점심을 먹고, 카페에서 30분 정도 졸다가, 1시간 정도 사진 찍어둔거 다시 보다가.......  아마도 날씨가 좋거나, 바람이 많이 안불었으면,

 전망대에서 시간을 더 보냈을 거 같네요.

 

 ▼ 통영항으로 되돌아 오는 길

 

 

 

'경상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충북/경북 속리산 : 묘봉 코스  (0) 2021.11.01
경북 문경 : 대야산  (0) 2021.07.12
경남 남해 : 금산 보리암  (0) 2015.05.22
대구 : 비슬산 (암괴류, 대견사지)  (0) 2014.03.20
경북 봉화군 : 청량산  (0) 2013.09.28